I would like to see

I would like to see the world in its naked vividness, ungrounded,
immanent, outside of any system of signs – language, culture, history,
politics etc.

Within the matrix of this system of representation of power,
we are constricted to think and feel in their tyrannies.

As long as artists are engaged in “strategies” that are being played out within the coded and structured system of signs, it is impossible for us
to take a flight to the unknown, uncoded world of chaos to bring back a breeze of fresh air in our art works.

In the process of art making, I would like to meet the objects as
they are, freed from grounded common sense point of view or
preconceived “concepts” as they come alive in their own terms exuding
their own differences in the light of the moment, in their own immanent
becoming.

Only outside of system of signs, the moment would bear all the past
and all the future where death, freedom and primal desire take their
flight to deteritorialize.

My work is about encountering every moment as it presents itself to me
and materializing the singular moment’s difference in a sculptural form
and then have the form exude its own intense difference, therefore,
coming alive on its own and beckoning the viewer to join in the moment
of eternity.

November, 2007

 

언어, 문화, 역사, 정치 등의 구조적인 틀 밖에서, 걸러지지 않은
그 자체 나름대로의 벌거벗고 선명한 세계를 그대로 보고 싶다.

이런 권력의 구조적인 틀 안에서는 우리들의 사고와 감성도 그들의
지배를 받게 마련이다.

예술가가 정돈되고 구조적인 사인 시스템 속에서 어떤 전략적인
태도로 작품을 대한다면 미안의 세계, 표지 되지 않은 혼돈의 세계로
날아가 한 줌의 맑은 공기를 작품 속에 담을 수가 없다 .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며, 상식 밖에서의,
또 미리 정해진 개념 밖에서의 순간의 빛 속에서 그들 나름대로의
‘다름’과, 그들 나름대로의 ‘되어감’을 표현하고 싶다.

구조적 사인 시스템 밖에서만이 순간은 모든 과거와 모든 미래를
함유할 수 있고, 죽음과 자유와 원초적 욕망은 나래를 펴고 탈영토화
할 수 있다.

작품은 벌거벗은 순간과의 만남이고, 그 순간의 ‘다름’을 형상화 시킨다.
그 형상은 또 그 자신의 ‘다름’을 분출하고, 스스로 살아나서 우리를
영원의 순간에 끌어 들인다.

이 원형
2007년 11월